카테고리 없음

주식 이동평균선 정배열과 역배열 쉽게 알아보기

리치뽀이 2025. 2. 24. 07:23
728x90
반응형

안녕하세요. 여러가지 정보를 다루고 있는 리치뽀이 입니다.

오늘은 주식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정배열과 역배열을 쉽게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주식을 분석할 때 이동평균선(이평선)의 배열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. 이동평균선이 정렬된 방식에 따라 '정배열'과 '역배열'로 나뉘며, 이를 통해 주가의 추세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.

 

정배열과 역배열이란?

1. 정배열: 단기 이동평균선(5일)이 중기 이동평균선(20일) 위에 있고, 중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(60일) 위에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. 즉, 5일 > 20일 > 60일 순으로 차례대로 정렬되어 있다면 정배열 상태입니다.

출처: 네이버페이

코스피에 상장 되어있는 KODEX 미국S&P500 차트를 한번 봐보겠습니다.

 

이동평균선이 위에서 부터 5일, 20일, 60일, 120일 이렇게 위치가 되어있는 차트는 정배열 차트 입니다.

 

정배열의 특징

  •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을 가능성이 높음
  • 많은 투자자가 매수 신호로 인식
  • 이동평균선이 우상향하면서 지지선 역할을 함

2. 역배열: 역배열은 정배열과 반대 개념으로, 장기 이동평균선(60일)이 중기 이동평균선(20일) 위에 있고, 중기 이동평균선이 단기 이동평균선(5일) 위에 있는 상태입니다. 즉, 60일 > 20일 > 5일 순으로 배열됩니다.

출처: 네이버페이

 

이 차트는 코스닥에 상장된 에코프로의 차트 입니다.

 

이 차트는 정배열과 반대 개념이기 때문에 위에서 부터 120일, 60일, 20일, 5일 순서로 위치가 되어있습니다.

그래서 이 차트는 역배열 차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 

역배열의 특징

  • 주가가 하락 추세에 있을 가능성이 높음
  • 많은 투자자가 매도 신호로 인식
  • 이동평균선이 저항선 역할을 하며 반등이 어려움

결론

정배열과 역배열을 활용하면 주식의 추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, 이를 바탕으로 매매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절대적인 지표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고, 거래량, 지지·저항선 등 다른 요소와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지속적인 공부와 실전 경험을 통해 올바른 투자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!

 

모두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!

728x90
반응형